개인투자조합 투자자에 대한 소득공제의 개요와 요건을 알아보세요!
안녕하세요, 올바른 증권 관리의 시작 쿼타북입니다!
지난번 “벤처투자조합”에 출자(투자)한 개인조합원을 위한 출자 또는 투자확인서 발급 가이드 잘 보셨나요?
오늘은 “개인투자조합”의 투자확인서 발급 가이드를 준비했어요.
특히 여러 개인투자조합을 운용 중인 액셀러레이터 여러분은 꼭 한번 체크해 보세요!
<가이드 순서>
⚖️ 관련 법령
개인이 벤처투자조합 등에 출자하는 경우 출자 금액의 10%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반면, 개인이 직접 벤처기업에 투자하거나 “개인투자조합”을 통해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경우 투자 금액의 30%~100%까지 소득공제(한도: 종합소득금액 X 50%)가 됩니다.
이때 “개인투자조합” 투자에 대한 소득공제는 조합에 투자함에 따른 혜택이 아닌 “조합이 벤처기업에 투자”함에 따른 소득공제 혜택으로 투자한 금액 중 벤처기업 등에 투자한 금액이 대상입니다.
개인투자조합은 국내 모든 투자조합 중 가장 세제 혜택이 높습니다. 이때 투자 금액에 대한 소득공제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계산 시 주의하셔야 해요.
👩🏻🏫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.
1. 조건
2. 공제 적용
3. 풀이
[공통] 개인 출자자(A, B, C) 모두 종합소득금액의 50%인 5천만 원까지 공제 가능합니다.
[개별]
⚖️ 관련 법령
개인투자조합 출자(투자)로 소득 공제받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합니다.
이때 투자 대상은 아래 조건 중 하나를 무조건 만족해야 합니다.
추가로 개인투자조합의 지분양도시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도 있습니다. 단,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.
🧐 다음의 경우 공제받은 금액에 대해 세액 추징을 받게 된다는 점 꼭 유의해 주세요!
이어지는 글에서는 개인투자조합의 투자확인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👉🏻 2편 보러 가기
※ Legal disclaimer │ 법적 고지 사항
쿼타북은 법률 또는 기타 전문적인 자문을 제공하는 주체가 아니며, 쿼타북이 본 웹사이트 및/또는 기타 매체 등을 통하여 전달하는 정보는 일반적인 정보 공유 목적으로만 제공됩니다. 쿼타북이 제공하는 어떠한 정보도 법률 또는 기타 전문적인 자문으로 해석되지 아니하며 이를 어떠한 결정이나 조치의 근거로 활용하여서는 안됩니다. 본 웹사이트 및/또는 기타 쿼타북이 운영하는 매체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는 관련된 가장 최신의 내용이 반영된 정보가 아닐 수 있습니다. 또한 본 웹사이트에 포함된 외부 제3자의 웹사이트 및 기타 정보에 대한 링크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이로써 링크된 제3자 제공 정보 등을 이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합니다.